2018. 2. 14. 10:24ㆍ山/산행 준비
한남금북정맥 (漢南錦北正脈)
백두대간의 속리산(俗離山) 천왕봉에서 갈라져 나와
충청북도 북부를 동서로 가르며 안성의 칠장산(七長山, 492m)까지 이어져 한강과 금강의 분수산맥을 이루며,
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(文殊山)까지의 한남정맥과 서남쪽으로 태안반도 안흥까지의 금북정맥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의 이름.
[한남금북정맥 / 지도를 크릭하면 상세한 정보를 볼수 있습니다.] | |
| |
한남금북정맥 : 속리산 천왕봉 ~ 안성 칠장산 |
|
도상거리 173 Km 실측거리 000 Km 11 구간 계획 |
[금남한북정맥 일정표] |
||||
구간 |
산행 코스 |
도상거리 |
시간 | |
1 |
천왕봉 ~ 갈목재 |
윗대목골→914→천왕봉→807봉→안부사거리→638봉→무인감시카메라→불목이재→585봉→갈목재 |
12.30 |
8.5 |
2 |
갈목재 ~ 구치재 |
갈목재→말치고개→새목이재→구룡치→수철령→전위봉→백석리고개 |
13.90 |
8.5 |
3 |
구치재 ~ 벼재 |
구치재→능선분기점→작은구티재→질골고개→능선분기점→중티재→시루산→구봉산→벼재 |
14.10 |
8.5 |
4 |
벼재 ~ 추정재 |
벼재ㅡ쌍암재ㅡ새터고개ㅡ살티재ㅡ국사봉ㅡ추정재 |
14.70 |
7.0 |
5 |
추정재 ~ 산성고개 |
추정재 →백족산갈림길→임도→선도산→현암삼거리→512번도로→활공장→것대산 봉수터→상봉재→산성고개 |
15.90 |
7.5 |
6 |
산성고개 ~ 분젓치 |
산성고개→암문→상단산→등산로안내판→470봉능선분기점→인경산갈림길→임도→486.8봉→이티재→구녀산→분젓치 |
14.70 |
6.5 |
7 |
분젓치 ~ 모래재 |
분젓치→밤티재→좌구산→질매재(529번도로)→칠보치→칠보산→송치재→능선분기점→모래재 (34번국도) |
17.70 |
8.0 |
8 |
모래재 ~ 돌고개 |
모래재(34번국도)→임도→보광산→고리터고개→백미산→내동고개→보천고개→행태고개→큰산→삼실고개→돌고개 |
19.10 |
8.0 |
9 |
돌고개 ~ 바리고개 |
돌고개→임도→2차선도로→임도→보현산→승주고개→37번국도(감우리마을)→346.3봉→소속리산→바리고개 |
16.70 |
7.5 |
10 |
바리고개 ~ 대야고개 |
바리고개(21번국도)→82번도로→방아다리→583도로→쌍봉1리→8번군도(웟두리실)→대야고개 |
18.40 |
7.0 |
11 |
대야고개 ~ 칠장사 |
대야고개→마이산(472)→수레티고개(화봉육교) →차현(중부고속도로)→황색골산→도솔봉→걸미고개→칠장산분기점→칠장사 |
16.30 |
9.5 |
거리는 GPS 측정 결과치 이므로 공식 거리와는 오차가 있을수 있습니다. |
173.8 |
86.5 |
[한남금북 주요 산]
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였던 산줄기 체계는
하나의 대간(大幹)과 하나의 정간(正幹), 그리고 이로부터 가지친 13개의 정맥(正脈)으로 이루어졌다.
『산경표(山經表)』에 근거를 둔 이들 산줄기의 특징은 모두 강을 기준한 분수산맥으로 그 이름도 대부분 강 이름에서 비롯되었다.
이 정맥을 이룬 주요 산과 고개는
『산경표』에 속리산·회유치(回踰峙)·구치(龜峙)·피반령(皮盤嶺)·선도산(仙到山)·거죽령(巨竹嶺)·상령산(上嶺山)·상당산(上黨山)·분치(粉峙)·좌구산(坐龜山)·보광산(普光山)·봉학산(鳳鶴山)·증산(甑山)·마곡산(麻谷山)·보현산(普賢山)·소속리산(小俗離山)·망이산(望夷山)·주걸산(周傑山)·칠현산(七賢山) 등으로 기록되었다.
해발 400∼600m의 산들로 연결되었으나 때로는 100m의 낮은 구릉으로 이어지기도 한 이 산줄기는
동쪽의 괴산·음성·충주 등 중원의 남한강지역과 서쪽의 보은·청주·증평·진천 등 금강 북부지역의 생활 문화권을 가름하였다.
한 때 고구려와 백제의 국경이 되기도 하였으며, 현재는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자연스러운 한 경계를 이루고 있다.
현대 지도에서 산 이름으로 찾아보면
속리산·말티재·구치(九峙)·시루산·구봉산(九峰山)·국사봉(國師峰)·선두산(先頭山)·선도산(先到山)·상봉재·상당산성(上黨山城)·좌구산·칠보산(七寶山)·보광산·행태고개·보현산·소속리산·마이산(馬耳山)·차현(車峴)·황색골산·걸미고개·칠장산 등이다. [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에서 인용...]
[1대간, 1정간, 13정맥 지도]
[남한의 9 정맥 정리]
정맥 명 |
출발 |
도착 |
거리 및 구간 분리 |
행정구역 | |||
도상거리 |
실측거리 |
구간 분리 | |||||
한북 정맥 |
수피령 |
장명산 |
120 |
185 |
12 |
철원 |
파주 |
한남금북 정맥 |
속리산 |
칠장산 |
148 |
177 |
8 |
괴산 |
안성 |
한남 정맥 |
칠장산 |
문수산 |
180 |
203 |
14 |
안성 |
강화 |
금북 정맥 |
칠장산 |
안흥진 |
260 |
312 |
16 |
안성 |
충남 |
금남호남 정맥 |
장안치 |
마이산 |
64 |
75 |
4 |
장수 |
진안 |
금남 정맥 |
마이산 |
조룡산 |
126 |
131 |
7 |
진안 |
부여 |
호남 정맥 |
마이산 |
백운산 |
390 |
515 |
36 |
진안 |
광양 |
낙남 정맥 |
지리산 |
분산 |
232 |
242 |
14 |
함양 |
김해 |
낙동 정맥 |
태백산 |
몰운대 |
417 |
518 |
31 |
태백 |
부산 |
|
|
|
| ||||
계 |
1,937 | 2,358 | 142 |
9 개의 정맥을 월 2회 출정 가정한다면, 최소 6~7 년이 소요되는 긴 과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