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06. 1. 21. 11:10ㆍ山/산행 지식
■ 전방교회법
교회법이란 2개 또는 3개의지점을 이용하여 지도상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전방의 지형지물의 위치(전방 교회법)나 2개 또는 3개의 알고있는 지점이나 미지의 지점을 통하여 자기의 위치(후방교회법)를 알아내는 방법을 말한다.
이 방법은 대체로 지도상에 나타나 있지 않은 지형지물의 위치나 미지의 지점을 통하여 자기위치를 알아내는 데 사용한다.
? 교회법의 종류 : 전방교회법, 후방교회법
※ 미지(未知)의 지점이란?
산행중 주변에서 무수히 많이 나타나는 무명의 봉우리들을 일컫는다.
1. 전방교회법
지도상에서 자기의 위치는 알고 있으나 알고자 하는 지점의 위치를 찾아낼 수 없을
때 사용하 는 방법이다.
가. 지도와 나침반에 의한 방법
(1) 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를 정치한다(앞의 도북선 및 자북선에 의한 지도정치
참조).
문) 실제 지형에서 도북선에 의한 지도정치를 한한 후 어떤 지점에 대하여 나침
반으로 방위각을 측정했을 때 도자각만큼을 가감해야 하는가?
답) 도자각은 적용할 필요가 없다.
설명) 지도정치란 지도와 실제지형을 일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도북선 및 자
북선에 의한 지도정치가 있을뿐이며 일단 지도정치가 완료되었다는 것은
지도상의 남북과 실제 지형상의 남북이 일치된 것이다.
즉, 나침반이 가리키는 자북 방위각을 기준( N = 0° = 360° )으로 한다는
뜻이다. 그러므로 나침반으로 방위각을 측정시에는 각도표시 다이얼의
"N"을 도수지시선(진행선방향)에 일치시킨 후 방위각 측정법에 의거 방
위각을 측정하되 나침반에 나타난 각도를 그대로 읽거나 지도상에 작도
하면 된다 (도자각은 적용하지 않는다).
![]() | |||
전방 교회법(나침반) - 1 |
(2) 지도상에 자기의 위치를 표시한다[제1~2지점(재약산, 갈림길)=○ , 목표물=□].
![]() |
전방 교회법(나침반) - 2 |
(3) 나침반으로 알고자 하는 지점에 조준 후 방위각을 측정한다.
(예) 재약산에서 알고자 하는 지점인 간월산 앞에 있는 봉우리(약930m)의 방위각은
86。30′이다.
![]() |
전방 교회법(나침반) - 3 |
(4) 앞(3)번에서 측정된 나침반의 방위각 86。30′을 그대로 유지한 채 지도 위에 놓고
나침반 기판의 양옆 긴 변 중 한 변의 뒷부분(진행화살표 반대쪽)을 제1지점(재약산)
에 맞추고 북방지시화살표에 적침을 일치시킨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.
분도기 사용 : 보다 정확하게 교회법을 작도하고자 할 때에는 분도기를 사용하면 된
다.
이때 자북선이 그어져 있지 않을 때에는 자북 방위각을 도북 방위각으로 환산하여야
한다. 즉, 86。30′- 6。30′=80。00′이 도북 방위각이다.
![]() |
전방 교회법(나침반) - 4 |
(5) 알고자 하는 지점이 보이는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여 앞의 (3)에서 (4)까지 내용대로
반복한다. )
(예)재약산 ─ 알고자 하는 지점까지의 방위각은 95。00′이다.
![]() |
전방 교회법(나침반) - 5 |
(6) 앞(5)번에서 측정된 나침반의 방위각 95。00′을 그대로 유지한 채 지도 위에 놓고,
나침반 기판의 양옆 긴 변 중 한 변의 뒷부분(진행화살표 반대쪽)을 제2지점(갈림길)
에 맞추고 북방지시화살표에 적침을 일치시킨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.
(분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앞 (4)번을 참고하면 된다).
![]() |
전방 교회법(나침반) - 6 |
(7) 위 두 직선의 교차점이 알고자 하는 지점의 지도상의 위치가 된다.
◎ 보다 정확성을 기하고자 할 때는 제 3의 지점으로 이동하여 앞에서 설명한
순서대로 반복 실시한 후 3개의 직선이 한 점에 일치되면 지도상 정확한 위
치가 되지만 만약 삼각형이 형성되었을 경우 삼각형이 작을 때는 대략적인
위치를 알 수 있으나 삼각형이 클 경우에는 측정이 잘못된 것이니 “가”의
작업 (3)~(4)순서대로 다시 실시한다.
![]() |
전방 교회법(나침반) - 7 ※ 주의: 삼각형의 중앙을 정확한 위치라고 추정해서는 안된다. |
(예) 재약산 및 간월산에서 알고자 하는 지점이 능동산이라고 가정했을 때
(도자각 6。30′일 때)
(1) 실제 지형에서 나침반에 의하여 측정된 방위각
① 재약산 → 능동산=약 45° 30′ ② 간월산 → 능동산=약 337° 30′
다. 전방 교회법 요약
(1) 실제 지형에 가서 지도정치를 한다. | (2 ) 지도상에 자기가 알고 있는 “제 1 지점” “제 2 지점”을 표시한다. |
| ![]() 전방 교회법 요약 - 2 |
(3) 제 1 지점에서도 알고자 하는 지 점의 방위각을 잰 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. | (4) 제 2 지점에서 알고자 하는 지점 의 방위각을 잰 후 지도상에 연필 로 선을 긋는다. |
| ![]() |
전방 교회법 요약 - 4 | |
(5) 두 직선이 교차하는 지점이 알고자 하는 지점의 지도상 위치다. | A=제 1 지점 B=제 2 지점 C=알고자 하는 지점 |
![]() | ![]() |
전방 교회법 요약 - 5 |
'山 > 산행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 도어 클라이밍의 정의 (1) | 2006.01.21 |
---|---|
후방교회법 (3) | 2006.01.21 |
산행예절및 산중도덕 (0) | 2006.01.21 |
산의 날씨에 대한 지식 (1) | 2006.01.21 |
지도정치 (2) | 2006.01.21 |